전체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제목+내용 제목 포상자명과 직책 검색어 검색 리스트 목록 故 전종휘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지다 전종휘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염병 임상학자로서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진 선구적 의학자다. 1913년 함경북도 성진군에서 태어난 그는 보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경성의전에서 스승 백인제와 선배 장기려를 만나 학문뿐 아니라 종교와 생활철학도 공유하며 특별한 관계를 유지했다... 故 임덕상 前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교수 현대 대수기하학의 세계적 연구자이자 아이비리그 첫 한국인 수학교수 임덕상 교수는 재미 한국인 수학자로서 군 코호몰로지 연구, 변형이론 연구를 통해 대수기하학 발전에 기여했고,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와 필라델피아 교민회 활동을 통해 한인 과학기술계와 지역사회 교포들의 교류와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자의 길을 걸었다. 그는... 故 윤능민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유기화학의 세계적 연구를 통해 한국 화학의 위상을 높이다 윤능민 교수는 금속수소화물에 의한 선택환원 반응과 수소화금속을 이용한 유기합성 분야의 연구로 국제적 인정을 받고, 후학들을 우수 연구집단으로 육성한 선도적인 화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 평양에서 고등보통학교까지 졸업한 후... 故 국채표 前 중앙관상대 대장 한국 기상학과 기상예보의 현대적 기반을 마련하다 국채표 대장은 한국의 기상예보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한국기상학회의 발족과 한국기상학회지 창간으로 한국기상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선구적인 기상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연희전문학교 수물과와 교토제국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15년간 재직했다. 교사로 있는 동안 신문과 잡지에 과학 관련 글을 故 김시중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국가의 장기연구계획을 설계한 미래지향 과학정책가 김시중 장관은 거시적인 안목에서 한국 과학기술의 선진화를 위해 장기연구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한 과학행정가다. 그는 과학기술처 장관으로 장기연구종합계획을 수립하여 한국이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고,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 회장으로 과학기술계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1960년... 이충구 前 현대자동차 사장 자동차 핵심기술의 독자 개발을 이끈 마에스트로 이충구 사장은 한국 자동차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한 기술개발의 마에스트로다. 1945년 충북 영동에서 태어난 그는 대학에서부터 자동차와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서울대 공대에서 자동차공학을 배웠고 졸업 후 군대에서는 수송병과의 정비담당 장교로 근무했으며, 뒤이어 1969년 ROTC 공채 ... 김충기 KAIST 명예교수 한국 반도체산업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전자공학자 김충기 교수는 첨단 반도체 연구를 국내에 정착시키고 반도체 산업기술 개발을 이끈 1, 2세대 주역들을 키워낸 한국 반도체의 대부다.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문제 해결을 중시하는 엔지니어 정신이 충만한 환경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경성고등공업학교 졸업생으로서 경성방직의 섬유 엔지니어였던 아버지의 영향이었다... 故 김정식 前 대덕전자 회장 한국 PCB 산업의 역사 일군 전자산업 개척자 김정식 회장은 인쇄회로기판(PCB)을 최초로 국산화하고 그 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글로벌 중소기업을 일구었고, 과학교육과 진흥을 힘껏 도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 진정한 기업가 정신의 소유자다.1929년 함경남도에서 태어난 그는 전자부품 기업을 일구면서 한국 전자공업의 역사를 함께 쓴 산증인이었다. 조선전기공업고... 故 김영걸 POSTECH 명예교수 촉매 및 반응공학 연구를 선도한 화학공학자 김영걸 교수는 미국 종신직(tenure)을 마다하고 한국으로 돌아온 첫 번째 재외과학자로, 한국과학원(현 KAIST)과 포항공과대학교를 대학원 중심, 연구 중심의 대학으로 육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대형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러냄으로써 한국 화학공학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그는 1951년 서울대학교 ... «‹12345678910›»
리스트 목록 故 전종휘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지다 전종휘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염병 임상학자로서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진 선구적 의학자다. 1913년 함경북도 성진군에서 태어난 그는 보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경성의전에서 스승 백인제와 선배 장기려를 만나 학문뿐 아니라 종교와 생활철학도 공유하며 특별한 관계를 유지했다... 故 임덕상 前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교수 현대 대수기하학의 세계적 연구자이자 아이비리그 첫 한국인 수학교수 임덕상 교수는 재미 한국인 수학자로서 군 코호몰로지 연구, 변형이론 연구를 통해 대수기하학 발전에 기여했고,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와 필라델피아 교민회 활동을 통해 한인 과학기술계와 지역사회 교포들의 교류와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자의 길을 걸었다. 그는... 故 윤능민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유기화학의 세계적 연구를 통해 한국 화학의 위상을 높이다 윤능민 교수는 금속수소화물에 의한 선택환원 반응과 수소화금속을 이용한 유기합성 분야의 연구로 국제적 인정을 받고, 후학들을 우수 연구집단으로 육성한 선도적인 화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 평양에서 고등보통학교까지 졸업한 후... 故 국채표 前 중앙관상대 대장 한국 기상학과 기상예보의 현대적 기반을 마련하다 국채표 대장은 한국의 기상예보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한국기상학회의 발족과 한국기상학회지 창간으로 한국기상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선구적인 기상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연희전문학교 수물과와 교토제국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15년간 재직했다. 교사로 있는 동안 신문과 잡지에 과학 관련 글을 故 김시중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국가의 장기연구계획을 설계한 미래지향 과학정책가 김시중 장관은 거시적인 안목에서 한국 과학기술의 선진화를 위해 장기연구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한 과학행정가다. 그는 과학기술처 장관으로 장기연구종합계획을 수립하여 한국이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고,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 회장으로 과학기술계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1960년... 이충구 前 현대자동차 사장 자동차 핵심기술의 독자 개발을 이끈 마에스트로 이충구 사장은 한국 자동차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한 기술개발의 마에스트로다. 1945년 충북 영동에서 태어난 그는 대학에서부터 자동차와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서울대 공대에서 자동차공학을 배웠고 졸업 후 군대에서는 수송병과의 정비담당 장교로 근무했으며, 뒤이어 1969년 ROTC 공채 ... 김충기 KAIST 명예교수 한국 반도체산업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전자공학자 김충기 교수는 첨단 반도체 연구를 국내에 정착시키고 반도체 산업기술 개발을 이끈 1, 2세대 주역들을 키워낸 한국 반도체의 대부다.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문제 해결을 중시하는 엔지니어 정신이 충만한 환경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경성고등공업학교 졸업생으로서 경성방직의 섬유 엔지니어였던 아버지의 영향이었다... 故 김정식 前 대덕전자 회장 한국 PCB 산업의 역사 일군 전자산업 개척자 김정식 회장은 인쇄회로기판(PCB)을 최초로 국산화하고 그 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글로벌 중소기업을 일구었고, 과학교육과 진흥을 힘껏 도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 진정한 기업가 정신의 소유자다.1929년 함경남도에서 태어난 그는 전자부품 기업을 일구면서 한국 전자공업의 역사를 함께 쓴 산증인이었다. 조선전기공업고... 故 김영걸 POSTECH 명예교수 촉매 및 반응공학 연구를 선도한 화학공학자 김영걸 교수는 미국 종신직(tenure)을 마다하고 한국으로 돌아온 첫 번째 재외과학자로, 한국과학원(현 KAIST)과 포항공과대학교를 대학원 중심, 연구 중심의 대학으로 육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대형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러냄으로써 한국 화학공학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그는 1951년 서울대학교 ...